구글 시트로 실시간 환율 자동으로 가져오는 방법 2가지

구글 시트에서 환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GOOGLEFINANCE 함수를 쓰는 방법과 IMPORTXML 함수로 웹사이트에서 크롤링하는 방법이에요. 각각의 특징과 사용법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달러와 파운드 통화가 양방향 화살표로 연결된 환율 교환 아이콘


GOOGLEFINANCE 함수로 환율 받기 (가장 간단한 방법)


GOOGLEFINANCE는 구글이 제공하는 전용 금융 데이터 함수예요. 별도의 API나 복잡한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기본 사용법:

=GOOGLEFINANCE("CURRENCY:USDKRW")


이렇게 입력하면 미국 달러 대 한국 원화 환율이 실시간으로 표시돼요. 구글 서버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니 따로 새로고침할 필요도 없어요.


다양한 통화 예시:

=GOOGLEFINANCE("CURRENCY:EURKRW")     // 유로
=GOOGLEFINANCE("CURRENCY:JPYKRW")*100 // 일본 엔 (100엔 단위)
=GOOGLEFINANCE("CURRENCY:GBPKRW")     // 영국 파운드
=GOOGLEFINANCE("CURRENCY:CNYKRW")     // 중국 위안
=GOOGLEFINANCE("CURRENCY:CADKRW")     // 캐나다 달러
=GOOGLEFINANCE("CURRENCY:AUDKRW")     // 호주 달러


macOS에서 구글 시트를 사용할 때는 Command+Enter를 눌러 함수를 실행하면 돼요. 환율은 약 15-20분 정도 지연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용도로는 충분히 정확해요.


IMPORTXML 함수로 네이버 금융에서 환율 크롤링하기


GOOGLEFINANCE가 지원하지 않는 통화나 더 정확한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하다면 IMPORTXML을 사용해요. 네이버 금융 같은 웹사이트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이에요.


네이버 금융 환율 가져오기 예시:

=IMPORTXML("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exchangeDetail.naver?marketindexCd=FX_USDKRW", "//*[@id='content']/div[2]/table[1]/tbody/tr/td[1]")


XPath 찾는 방법 (macOS Chrome 기준):

  • Chrome에서 네이버 금융 환율 페이지 접속
  • 원하는 환율 숫자에서 마우스 우클릭
  • 'Inspect' 또는 '검사' 선택
  • 해당 요소에서 다시 우클릭
  • Copy → Copy XPath 선택


IMPORTXML의 장점은 거의 모든 웹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에요. 하지만 웹사이트 구조가 바뀌면 함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주기적으로 XPath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해야 해요.


자동 새로고침 설정하기


GOOGLEFINANCE 함수의 자동 갱신:

  • 시트가 열려 있으면 자동으로 갱신돼요
  • 별도 설정 없이 구글 서버가 알아서 처리해요
  • 실시간이라고 해도 15-20분 정도 지연은 있어요


IMPORTXML 함수의 자동 갱신:

  • 시트가 열려 있으면 약 1시간마다 자동 갱신
  • 더 빠른 갱신이 필요하면 Google Apps Script 사용
  • macOS에서는 Command+R로 수동 새로고침 가능


Google Apps Script로 강제 새로고침 설정


더 정밀한 자동화가 필요하다면 스크립트를 활용할 수 있어요.


스크립트 설정 방법:

  • 도구 → 스크립트 편집기 열기
  • 아래 코드 입력:
function refreshData() {
  var sheet = SpreadsheetApp.getActiveSheet();
  var range = sheet.getRange("A1:Z100"); // 범위 조정
  var values = range.getValues();
  range.setValues(values);
}

function setTrigger() {
  ScriptApp.newTrigger('refreshData')
    .timeBased()
    .everyMinutes(5) // 5분마다 실행
    .create();
}
  • 저장 후 setTrigger 함수 실행

두 함수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


GOOGLEFINANCE와 IMPORTXML은 각각 장단점이 뚜렷해요.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GOOGLEFINANCE 장점:

  • 설정이 매우 간단해요
  • 자동 갱신이 안정적이에요
  • 구글이 직접 제공하는 공식 데이터예요
  • XPath 같은 잡한 개념을 몰라도 돼요


IMPORTXML 장점:

  • 거의 모든 웹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요
  • GOOGLEFINANCE가 지원하지 않는 통화도 가능해요
  • 네이버, 다음 등 국내 사이트 데이터도 활용 가능해요
  • 환율 외에도 다양한 금융 정보를 크롤링할 수 있어요


안정적인 무료 환율 데이터 소스 추천


IMPORTXML을 사용한다면 어떤 웹사이트를 선택하는지가 중요해요. 안정성과 정확성을 고려한 추천 사이트들이에요.


토스뱅크 환율:

  • 30초마다 자동 갱신
  • 수수료 없는 실제 거래 환율 제공
  • 모바일과 PC 모두 접근 가능


Investing.com:

  • 글로벌 환율 데이터의 표준
  • 거의 모든 통화쌍 지원
  • API 형태로도 활용 가능


한국무역협회:

  • 공신력 있는 공식 환율
  • 무역용 환율 정보 제공
  • 안정적인 서버 운영


실전 활용 예시: 환율 계산기 만들기


간단한 환율 계산기를 만들어볼게요. A열에 통화명, B열에 환율, C열에 금액을 입력하는 구조예요.


A1: USD
B1: =GOOGLEFINANCE("CURRENCY:USDKRW")
C1: 100
D1: =B1*C1

A2: EUR  
B2: =GOOGLEFINANCE("CURRENCY:EURKRW")
C2: 50
D2: =B2*C2

A3: JPY
B3: =GOOGLEFINANCE("CURRENCY:JPYKRW")*100
C3: 10000
D3: =B3*C3/100


이렇게 설정하면 실시간 환율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환산 금액도 함께 변경돼요.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


#N/A 오류가 뜰 때:

  • GOOGLEFINANCE: 통화 코드가 잘못됐거나 지원하지 않는 통화예요
  • IMPORTXML: XPath가 잘못됐거나 웹사이트 구조가 변경됐어요


#ERROR! 오류가 뜰 때:

  • 함수 구문이 잘못됐어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확인해보세요
  • URL이 정확한지 다시 확인해보세요


Loading... 상태가 계속될 때:

  • 인터넷 연결을 확인하세요
  • 시트를 새로고침하거나 다시 열어보세요
  • IMPORTXML의 경우 해당 사이트가 크롤링을 차단했을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환율만 필요하다면 GOOGLEFINANCE를 추천해요. 설정도 간단하고 안정적이거든요. 하지만 더 다양한 금융 데이터나 특수한 통화가 필요하다면 IMPORTXML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에요. 두 방법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하면 거의 모든 환율 데이터를 구글 시트에서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


윈도우에서 파일명에 날짜 자동으로 넣는 파이썬 코드 완벽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