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README 파일이나 기여 가이드 작성이 정말 귀찮더라고요. 코드는 열심히 짰는데 문서 작성은 계속 미루게 되고, 오픈소스로 공개하려면 더욱 부담스러웠어요. 그러다가 구글에서 만든 Gemini CLI라는 도구를 알게 되었는데, 터미널에서 AI가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고 해서 한번 써봤어요.
터미널에서 바로 설치하고 시작하기
먼저 Node.js 18 버전 이상이 필요해요. 컴퓨터에 없다면 Node.js 공식 홈페이지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최신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면 돼요. 그다음에는 터미널을 열고 이렇게 입력해요.
한 번만 써보고 싶다면:
npx https://github.com/google-gemini/gemini-cli
계속 쓸 거라면 전역 설치를 추천해요: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gemini
처음 실행하면 테마 색상을 고르는 화면이 나오고, 구글 로그인 창이 떠요. 로그인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API 키를 따로 만들 필요 없이 구글 계정만 있으면 돼서 편했어요.
주요 명령어로 다양한 작업하기
Gemini CLI에는 여러 명령어가 있는데, 제가 자주 쓰는 것들을 정리해봤어요.
기본 명령어:
gemini
: 대화형 모드로 시작gemini --help
: 모든 옵션과 명령어 목록 확인-m, --model
: 사용할 모델 지정 (예: gemini-2.5-pro)-p, --prompt
: 한 줄로 바로 요청 실행-d, --debug
: 디버깅 모드-y, --yolo
: 중간 확인 없이 자동 실행
대화 중에 쓸 수 있는 명령어:
/help
: 채팅에서 명령어와 단축키 안내/tools
: 내장된 AI 도구 목록 보기!<shell command>
: 쉘 모드로 로컬 명령어 직접 실행/quit
: 세션 종료/clear
: 화면 지우기Ctrl+L
: 터미널 화면 깨끗하게 정리
README 파일을 자동으로 만들어보기
제가 가장 놀랐던 건 README 파일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이었어요.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 다음 이렇게 입력하면 돼요:
gemini -y -p "이 프로젝트의 README.md 파일을 생성해주세요. 프로젝트 소개, 설치 방법, 사용법, 기여 방법을 포함해주세요"
몇 초 만에 프로젝트 구조를 분석해서 표준적인 README 문서를 만들어줘요. 프로젝트 개요, 설치 방법, 사용법, 기여 방법까지 알아서 정리해줘요.
특정 파일이나 폴더를 지정해서 더 자세한 문서를 만들 수도 있어요:
gemini -y -p "@/src/index.js 파일의 역할과 주요 함수 설명 문서화"
기여 가이드와 개발 문서도 자동 생성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운영하려면 CONTRIBUTING.md 파일도 필요한데, 이것도 자동으로 만들 수 있어요:
gemini -p "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기여 가이드라인(CONTRIBUTING.md)을 생성해주세요."
PR 방법, 코드 스타일, 브랜치 전략, 커밋 규칙, 이슈 작성법 등 필요한 내용을 모두 포함해서 만들어줘요. Pull Request 템플릿이나 Issue 템플릿도 같은 방식으로 만들 수 있어요.
코드베이스 전체를 분석하고 문서화하기
큰 프로젝트일수록 전체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운데, Gemini CLI는 100만 토큰까지 처리할 수 있어서 대규모 프로젝트도 문제없어요. 이런 식으로 활용했어요:
전체 구조 파악:
"이 디렉토리 전체의 아키텍처와 주요 폴더 역할을 요약해 주세요."
특정 폴더 분석:
"@/src/utils/ 디렉토리 내 함수별 요약 및 코드주석 자동화"
변경 이력 정리:
"최근 1개월 코드 변경 사항 Release Notes 형태로 정리"
테스트 케이스 생성:
"버그 리포트 및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실제로 써보니 느낀 점
처음엔 AI가 만든 문서가 얼마나 쓸만할까 의심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좋았어요. 특히 함수별 설명이나 프로젝트 구조 분석은 사람이 직접 하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했어요.
물론 자동으로 만들어진 문서를 그대로 쓰기보다는 한 번 검토하고 프로젝트에 맞게 수정하는 게 좋아요. 하지만 백지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훨씬 편하더라고요.
한국어와 영어 모두 잘 지원해서 글로벌 프로젝트든 국내 프로젝트든 상관없이 쓸 수 있어요. 터미널에서 바로 작업할 수 있어서 개발 흐름을 끊지 않고 문서화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어요.
앞으로도 프로젝트 문서 작성이 필요할 때마다 Gemini CLI를 활용할 것 같아요. 특히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한번 써보시면 정말 도움이 될 거예요.